<p></p><br /><br />앞서 전해드린 것처럼 북한이 꺼낸 탄도미사일 카드는 미국을 겨눈 거죠. <br> <br>하지만 지금 미국으로선 북한만 문제인 게 아닙니다. <br> <br>우크라이나에선 러시아, 대만해협에서 중국, 여기에 잠잠했던 중동지역까지 달아오르고 있습니다. <br> <br>“미국이 돌아왔다” 선포했던 바이든 정부는 1년 간 뭘 했을까요.<br> <br><세계를보다> 권갑구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피를 흘리는 남성이 부축을 받고 구조대는 천으로 가려진 시신을 들고 나옵니다. <br> <br>예멘 후티 반군은 아랍에미리트를 공습한 후 사우디 연합군의 공격을 받았습니다. <br> <br>반군은 지난 17일 문재인 대통령이 아랍에미리트를 방문했을 때도 아부다비 공항 등을 공격했습니다. <br> <br> 아라비아 반도의 미국 핵심 동맹인 사우디 등도 이젠 안전지대가 아닙니다. <br> <br>[토르프조른 솔트비트 / 중동 분석가] <br>"외교적, 군사적 갈등 해결 노력에도 예멘 전쟁은 계속되고 있어요. 실은 친미 세력(사우디 등)과 반미 세력(이란, 후티 반군) 사이 긴장이죠." <br> <br> 미국과 러시아가 힘겨루기하는 우크라이나는 3차대전의 화약고로 불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[안토니 블링컨 / 미 국무장관] <br>"우린 어떤 방식으로든 준비됐습니다." <br> <br>[블라디미르 푸틴 / 러시아 대통령] <br>"더 강하게, 더 자신 있게 뭉칩니다." <br><br>미군이 일본과 연합훈련을 위해 필리핀 해에 항모급 함정 4척을 파견하자 중국 군용기 52대가 대만방공식별구역에 무력시위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 북한은 미국의 제재에 반발해 오늘까지 7번 미사일로 도발했습니다. <br> <br> 취임하면서 "미국이 돌아왔다"고 밝힌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동시다발적인 국제 갈등에 맞닥뜨렸습니다. <br> <br> 하지만 바닥을 치고 있는 국내 지지율이 발목을 잡습니다. <br> <br>[존 듄 / 미 공화당 상원의원] <br>"이 행정부의 첫해는 엄청난 실패라고 말할 수밖에 없습니다. 대통령에게 굉장히 힘든 해였습니다." <br><br>7000㎞ 이상 떨어진 우크라이나부터 우리나라와 인접한 북한까지. 세계는 긴장의 연속입니다. <br> <br>세계의 경찰로 불렸던 미국은 제재와 지원, 모두 동원해 해결하려 하지만 쉽지 않습니다. <br> <br>우리나라도 이 갈등의 소용돌이를 피할 수 없습니다.<br> <br> 특히 미국이 중국 등에 대해 제재 동참을 요구하면 우리 기업들엔 큰 부담입니다. <br> <br>[정인교 / 인하대 국제통상학 교수] <br>"작년보다 지금 훨씬 더 큰 (위기) 상황이기 때문에 (우리) 기업들은 방어적으로 기업 운영을 (할 수밖에 없습니다.)" <br> <br>[민정훈 / 국립외교원 교수] <br>"안보는 미국, 경제는 중국이라잖아요. 미중 사이의 전략적 가치를 유지해야 되는 거죠. 국익 중심의 원칙 외교를 확립하고 향상시켜 나가야 된다." <br> <br> 복잡한 국제 관계 속에 미국이 예전만 못한 역할을 보여주면서 한반도 안보 상황도 안갯속입니다. <br> <br>세계를보다 권갑구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강철규 <br>영상편집 : 김문영<br /><br /><br />권갑구 기자 nine@donga.com